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5년째 '제자리걸음'

답답한 규제로 묶인 제도와 신규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전문가들과 정부 부처 관계자들의 주도하는 R&D는 결국 기업들의 도전보다는 안전적으로 프로젝트를 성공?(기존 기술으로 재탕 삼탕)시키는 것이 목표가 되어버리기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라 생각한다.


[ 기사 원문 ]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중요한 신성장 분야로 떠올랐지만, 우리나라에서는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9일 내놓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동력,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기업 수는 매년 늘고 있지만, 성장은 답보 상태라고 밝혔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기업 수는 2010∼2015년 연평균 5.8%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현재 약 500개에 달한다.
분야별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53%)나 부품(24%)을 만드는 하드웨어 기업이 주를 이뤘고, 진단이나 건강관리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전체의 6%에 그쳤다.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의 총매출액은 2015년 기준 약 101조원으로 5년 전(100조원)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대부분 매출은 하드웨어·플랫폼 관련 기업에서 발생했다. 전체 산업에서 진단이나 건강관리 분야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매우 미미했다.

또 2010∼2015년 평균 부채비율(기업의 자산 중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 이상인 기업 수 비중은 콘텐츠 개발 분야 76%,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분야는 67%에 육박해 이들 분야에서의 기업 부실이 우려됐다.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이었다.
특히 진단이나 건강관리 분야 기업의 평균 종업원 수(2015년 기준)는 각각 48명과 17명에 그쳤다.
보고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관련 법·제도와 정책 조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 거버넌스 체계를 재확립해야 한다"며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의 불균형을 극복하고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균형적인 생태계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기업의 총매출액 변화 및 분야별 비교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기업의 총매출액 변화 및 분야별 비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들이 실패하는 이유

DTC 유전자검사역량 인증제가 가져올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